안녕하세요, 여러분. 오늘은 20대 청년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2배의 기여금을 지급해 주는 계좌로, 11개 은행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금리 비교와 가입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청년도약계좌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읽어보세요!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의 정의와 목적
청년도약계좌는 20대 청년들이 자산을 축적하고 재테크를 배우며,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 지원 정책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2019년 7월부터 시행되었으며, 2024년 6월까지 운영될 예정입니다. 청년도약계좌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청년들의 저축 습관을 길러주고, 재무관리 능력을 향상시킵니다.
- 청년들의 자산을 증식시키고, 재테크에 대한 관심을 높입니다.
-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자금을 마련해 줍니다.
청년도약계좌의 장점과 한계
청년도약계좌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정부가 최대 2배의 기여금을 지급해 줍니다. 예를 들어, 5년간 매월 10만원을 저축하면, 총 600만원의 저축액에 대해 정부가 1200만원의 기여금을 지급해 줍니다. 즉, 총 1800만원의 자산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은행별로 다양한 금리와 우대 조건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소득이 낮거나, 취업 준비생이거나, 여성이거나, 결혼이나 출산을 계획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적금담보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청년도약계좌의 저축액을 담보로 하여,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, 청년들의 주거나 교육 등의 긴급한 자금 필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의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5년간 계좌를 유지해야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, 5년 이내에 계좌를 해지하거나, 저축액을 인출하거나, 저축액이 10만원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.
- 은행별로 금리와 우대 조건이 다르므로, 자신에게 맞는 은행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적금담보대출의 가산금리가 높은 은행은 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저축액과 정부기여금은 모두 소득세의 과세 대상입니다. 따라서,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거나, 정부기여금을 받을 때에는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
은행별 기본금리와 소득+우대금리
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은행별로 다르며, 기본금리와 소득+우대금리로 구성됩니다.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, 소득+우대금리는 매년 변동됩니다. 소득+우대금리는 소득이 낮은 경우, 취업 준비생인 경우, 여성인 경우, 결혼이나 출산을 계획하는 경우 등에 적용됩니다. 은행별로 기본금리와 소득+우대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NH농협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신한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우리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하나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IBK기업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KB국민은행: 기본금리 4.5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DGB대구은행: 기본금리 4.0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BNK부산은행: 기본금리 4.0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광주은행: 기본금리 3.8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전북은행: 기본금리 3.8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- BNK경남은행: 기본금리 4.00%, 소득+우대금리 0.50%
은행별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와 합산금리
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적금담보대출을 이용할 때에도 중요합니다. 적금담보대출은 청년도약계좌의 저축액을 담보로 하여,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 적금담보대출의 금리는 기본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한 것으로, 은행별로 다릅니다. 적금담보대출의 가산금리와 합산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NH농협은행: 가산금리 0.90%, 합산금리 5.40%
- 신한은행: 가산금리 1.00%, 합산금리 5.50%
- 우리은행: 가산금리 1.00%, 합산금리 5.50%
- 하나은행: 가산금리 1.00%, 합산금리 5.50%
- IBK기업은행: 가산금리 0.60%, 합산금리 5.10%
- KB국민은행: 가산금리 1.25%, 합산금리 5.75%
- DGB대구은행: 가산금리 1.00%, 합산금리 5.00%
- BNK부산은행: 가산금리 1.00%, 합산금리 5.00%
- 광주은행: 가산금리 1.20%, 합산금리 5.00%
- 전북은행: 가산금리 1.30%, 합산금리 5.10%
- BNK경남은행: 가산금리 1.20%, 합산금리 5.20%
은행별 금리 비교 표
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금리를 비교하기 쉽게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 표에서는 기본금리, 소득+우대금리,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, 합산금리를 모두 포함하였습니다. 은행별 금리 비교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
은행 | 기본금리 (3년 고정) | 소득+우대금리 |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| 합산금리 (최대 |
NH농협은행 | 4.50% | 0.50% | 0.90% | 6.00% |
신한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 | 6.00% |
우리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 | 6.00% |
하나은행 | 4.50% | 0.50% | 1.00% | 6.00% |
IBK기업은행 | 4.50% | 0.50% | 0.60% | 6.00% |
KB국민은행 | 4.50% | 0.50% | 1.25% | 6.00% |
DGB대구은행 | 4.00% | 0.50% | 1.00% | 6.00% |
BNK부산은행 | 4.00% | 0.50% | 1.00% | 6.00% |
광주은행 | 3.80% | 0.50% | 1.20% | 6.00% |
전북은행 | 3.80% | 0.50% | 1.30% | 6.00% |
BNK경남은행 | 4.00% | 0.50% | 1.20% | 6.00% |
이 표는 [은행연합회]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은행별로 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조건은 다르므로, 자세한 내용은 각 은행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를 참고해 주세요.
3.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과 유의사항
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과 절차
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려면 다음과 같은 자격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만 19세 이상 29세 이하의 청년이어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소득이 3천만원 이하이어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재산이 5억원 이하이어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부양가족이 없어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결혼 여부가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출산 여부가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취업 여부가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국적이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거주지가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학력이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 해의 성별이 무관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는 11개 은행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은행을 선택합니다.
- 해당 은행의 영업점이나 인터넷 뱅킹을 통해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합니다.
- 신청 시에는 신분증, 소득증명서, 재산증명서, 부양가족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.
- 신청이 승인되면,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고, 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유지 조건과 정부기여금
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유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5년간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, 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해야 합니다.
- 저축액이 10만원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3개월 이내에 보충해야 합니다.
- 저축액을 인출하거나, 다른 계좌로 이체하거나, 다른 은행으로 이관하면 안됩니다.
- 소득이나 재산이 가입 자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고해야 합니다.
- 소득+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신고해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정부기여금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정부기여금은 5년간 저축한 총액의 최대 2배를 지급합니다.
- 정부기여금은 매년 6월에 지급되며, 청년도약계좌에 입금됩니다.
- 정부기여금은 5년간 유지해야 받을 수 있으며, 5년 이내에 계좌를 해지하면 환수됩니다.
- 정부기여금은 소득세의 과세 대상이므로, 세금이 공제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해지 시 환급금과 세금
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와 유의사항을 알아야 합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해지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는 은행에 해지 신청서를 제출합니다.
- 해지 신청서에는 신분증, 청년도약계좌 통장, 정부기여금 수령증 등을 첨부해야 합니다.
- 해지 신청이 승인되면, 청년도약계좌의 저축액과 정부기여금을 환급받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해지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5년 이내에 계좌를 해지하면, 정부기여금을 환수당합니다.
- 5년 이후에 계좌를 해지하면, 정부기여금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의 저축액과 정부기여금은 모두 소득세의 과세 대상이므로, 세금이 공제됩니다.
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20대 청년들에게 유리한 정책이므로,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[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]를 참고해 주세요. 감사합니다.